PYTHON 29

문제 2739번

https://www.acmicpc.net/problem/2739 이 문제는 반복문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해 가져왔다. 우선 문제는 아래와 같다 문제를 보았을때, N의 값을 입력 받으면 1부터 9까지 곱한 값을 출력하는 문제이다. 우선 입력을 받는 것은 간단한 수식이다. N = int(input()) 구구단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정수이여야 함으로 int를 추가해준다. 파이썬에서 반복문은 for 과 while이 존재한다. https://pshoon25.tistory.com/9 😀반복문에 대해서는 위에 글을 참고하자 ! 우리는 원하는 반복 범위가 지정되어 있기 때문에 for 반복문을 사용할 것이다. 반복 범위는 1 ~ 9이기 때문에 in range(1, 10)의 값을 대입해 주면 된다. 9를 대입하면 8까지만 ..

for, while

지난 번에는 조건문 if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번엔 반복문 for과 while에 대하여 알아보자! 반복문이란 무엇인가 ? 주어진 횟수나 조건에 만족하면 특정 부분을 반복하여 수행하는 구문을 반복문이라고 한다. 반복문은 특정 패턴이 있는 부분을 반복문을 사용하여 간략하게 할 수 있다. 🔎우선 for문에 대하여 알아보자. for in : 우선 작성 코드는 위와 같다. 는 에 따라 변경되며 를 수행한다. 글로 설명하면 이해하기가 어려울 것이다. 예를 들어 보겠다. A = [1, 2, 3, 4] for i in A : print(i) #출력값 1 2 3 4 i에 A값을 입력한 for 반복문을 작성하면, A의 리스트 순서대로 1 2 3 4 위 값들이 차례대로 i의 기입되어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

Back-End/Python 2022.11.27

if

나는 개인적으로 업무를 할 때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이 업무의 효율성이라고 생각한다. 주에 3-4번 이상 반복하는 업무가 있다면, 그 패턴을 파악한 후 자동화 및 간략화하여 그 시간에 업무에 더 집중 시키는 것을 선호한다. 나는 파이썬을 아직 입문하는 단계이지만, 그 전에 엑셀을 사용하여 업무 처리를 했을 때 if 수식을 사용하여 데이터 분류를 할 때 유용하게 할 수 있었다. 파이썬에서 if 는 제어문 중 조건문으로 분류된다. 제어문이란,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코드 속에서 특정 조건에 따라 코드 일부만 수행하거나 특정 부분을 반복하여 코드의 진행 순서를 바꾸는 구문을 뜻한다. 조건문이란, 특정 조건에 따라서 명령을 다르게 수행하는 것이다. 우선 if문에 대하여 배우기 전에 알아야 할 것이 있다. 그것은 연..

Back-End/Python 2022.11.27

[](){}

제목을 보면 이게 뭔가 싶을것이다. 이 글은 리스트(List), 튜플(Tuple), 세트(Set), 딕셔너리(Dictonary)에 관한 설명글이다. 그러면 하나씩 무엇인지 알아보자. 리스트(List)란 무엇인가 ? 리스트의 어학적 뜻은 '목록, 명단' 이라는 명사이다. 리스트는 여러개의 데이터를 하나로 묶는 데 이용한다. 예를들어, '국어, 영어, 수학, 과학' 이라는 강의들을 '과목' 이라는 변수명으로 묶을 수 있다. 과목 = 국어, 영어, 수학, 과학 파이썬에서 리스트는 대괄호[ ] 로 구분되며, 괄호안에 내용은 쉼표 , 로 구분된다. subject = ['korean', 'english', 'math', 'science'] print(subject) print(type(subject)) #출력값 [..

Back-End/Python 2022.11.26

문제 2525번

https://www.acmicpc.net/problem/2525 문제 2525번을 가져왔다. 이 문제를 가져온 이유는 코딩의 축약에 대하여 생각을 하게 되어 가져왔다. 문제는 아래와 같다. 내용은 길지만 문제는 간단하다. 주어진 시간( A시 B분 )에 타이머 시간( C분) 을 추가하면 완료시간 ( A시 (B+C)분 )을 구하는 것이다. 단, 주의해야할 점은 시는 24시 단위로, 분은 60분 단위로 바뀌기 때문에 B + C의 값이 60이 넘어가면 그만큼 A에 값을 추가해 줘야한다. 우선 내가 작성한 코드는 아래와 같다. A , B = map(int, input().split()) C = int(input()) if (B + C) // 60 >= 1 : if A+((B+C)//60) >= 24 : prin..

문제 2588번

https://www.acmicpc.net/problem/2588 이번 문제는 어렵진 않았지만 새로운 함수를 배우게 되어 가져왔다. 문제는 아래와 같다. 문제를 보면 첫째 줄에는 (472 * 5) 가 출력되게, 둘째 줄에는 (472 * 8), 셋째 줄 (472 * 3), 마지막 줄은 (472 * 385)가 출력되게 작성하는 것이다. 다만, 위 문제에서 눈여겨볼 것은 입력이다. 이전에 입력은 첫 째줄에 두 개의 정수가 전부 주어졌다. 하지만 이번 문제는 첫째줄에 472가 주어지고, 둘째 줄에 385가 주어진다. 그러면 a, b 의 변수가 위의 조건에 맞게 작성되어야 한다. 우리는 여기서 input() 함수를 사용하여 입력값을 a, b 변수에 대입해주면 된다. 다만, input()값은 문자로 인식이 되기 때..

문제 10926번

https://www.acmicpc.net/problem/10926 문제 10926번입니다. 이 문제는 입출력을 응용한 문제입니다. 이 문제의 정답을 알면 굉장히 쉽다고 생각할 겁니다. 근데 이 문제에 대한 리뷰를 왜 할까요 ? 저는 정답을 알고난 후 창피함과 허망함을 느꼈습니다. 문제는 아래와 같았습니다. 저는 문제를 보고 '이미 존재하는 것', '??!로 표현', '이미 존재하는 아이디가 주어졌을 때, 놀람을 표현' 이라는 것에 초점을 두었습니다. 놀람을 표현하는 부분은 쉬웠습니다. print('??!') 위와 같이 출력하면 되는 부분이었습니다. 그 후 문제는 제가 중복이라는 내용에 너무 초점을 두었던 것입니다. 중복 함수 이기때문에, list()안에 값을 입력해주어야 하고, 똑같은 값이 입력이 되면..

문제 10869번

https://www.acmicpc.net/problem/10869 이번 문제는 쉬운 문제였다. 근데 왜 풀이를 적는가 ? 그 이유는 나에 대한 반성과 성찰에 있다. 본론으로 들어가 문제 10869번이 어떤 문제인가 ? 위 문제와 같다. 내가 쓴 1000번 문제 풀이를 보면 쉽게 풀 수 있다. 기본적인 사칙연산 문제로 +, -, *, /, % 식만 대입하면 될 줄 알았다. 그래서 아래와 같은 코딩을 작성하였다. a, b = map(int, input().split()) print(a+b) print(a-b) print(a*b) print(a/b) print(a%b) #결과값 7 3 10 4 21 2.3333333333333335 1 작성을 하여 제출을 하였으나 오답으로 나왔다. 그 이유를 살펴보니 출력값..

문제 1000번

https://www.acmicpc.net/problem/1000 나는 이직을 위하여 파이썬을 공부하게 되었다. 다들 공부를 하면서 코딩테스트를 보라고 추천을 해줬다., 백준 코딩테스트 사이트를 알게되어 문제를 풀어보려고 했다. 나는 기본적인 파이썬 언어는 공부를 했다고 생각했고, 가벼운 마음으로 문제를 시작했다. 근데 큰 오산이었다. 시작부터 큰 벽에 부딪혔다. 1000번이었다. 문제는 아래와 같았다. 시작부터 난관이었다. 나는 가벼운 사칙연산 문제로 알고 쉽게 풀 줄 알았다. 근데 그게 아니었다. 나는 왜 위와 같은 답이 나왔는지 하나하나 뜯어보기로 했다. 우선 내가 쉽게 알 수 있는 부분은 '출력' 이었다. A+B를 출력 = print(A+B) 이 부분은 간단했다. 그 다음은, A와 B 두 정수를 ..